윤석열 대통령이 난방비 지원에 천8백억 원을 투입하는 방안을, 말 그대로 신속 재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가스공사가 내야 할 미수금을 고려하면 가스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라지만 뭔가 긴급 조치에 나서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실은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은혜 / 대통령실 홍보수석 : 유례 없는 한파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 취약계층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어지기 바라는 마음에서 신속하게 내려진 재가입니다. 윤석열 정부는 정책적 노력을 최대한 기울여 나가겠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난방비 폭탄에,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떨어진 것 또한 의식하지 않았겠냐는 평가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말 윤 대통령의 부정 평가가 줄고, 긍정 평가가 오르며 지지율이 상승세를 탔는데 <br /> <br />올해 1월 들면서 이렇게 긍정평가는 하락세로 돌아섰고, 부정평가가 오르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게 난방비 폭탄의 영향이라는 여론조사 기관의 분석이 나왔었죠. <br /> <br />또, 한 가지, 어제부터죠. <br /> <br />2월 난방비 고지서가 전달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1월 난방비 인상은 '애교' 수준일 거란 얘기가 나왔었는데, 지금 보시는 화면이 한 주민이 받은 2월 고지서인데요. <br /> <br />12월에 3만 원대였던 가스비가 1월에는 9만 원대로 3배 올랐는데, 2월에는 20만 원을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12월과 비교하면 6배 넘게 오른 거죠. <br /> <br />영하 10도 아래의 강추위가 이어졌던 이달 난방비가 2월 요금에 반영돼 나올 테니 민심은 당분간 더 악화할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윤석열 정부의 지원책은 취약계층에 맞춰져 있는데, 정작 취약계층도 몰라서 못 받는 지원금이 적지 않다는 자료까지 공개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가스료 지원금을 수령하지 않은 가구는 줄긴 했지만, 지난해에만 41만 가구라고 하고요. <br /> <br />에너지 바우처를 수령하지 않은 가구는 더 늘어서 13만 가구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관계당국에 철저히 안내하라는 대통령의 당부도 이 때문에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의 신속 재가는 가스요금 올리더라도 일단 발등에 떨어진 불은 꺼야겠다는 판단도 있었겠죠. <br /> <br />그래서 더 눈에 띄는 단어 '중산층'입니다. 난방비 경감 방안을 언급하면서 서민뿐 아니라 처음으로 '중산층'도 언급했는데요. <br /> <br />난방비 경감 방안이 추가로 나올지도 지켜봐야겠습니다. <br /> <br />정책 행보와는 별도로 김건희 여사의 주가조작 의혹 제기와 관련한 대통령실의 고발 조치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정미 (smiling3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13108371607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